본문 바로가기
2뚱보의 건강수첩

이가 나는 순서(이앓이 시기, 증상, 대처방법, 이관리)

by 다중이엄마 2023. 11. 13.
반응형

 

  9개월에 막바지에 접어든 저희 둘째는 현재 아랫니가 2개 뿅~ 나왔답니다.

 

 7개월쯤 됐을 때 살짝 나오기 시작했어요~

 

8개월 때는 아랫니 두 개가 완전히 나왔답니다.

 

 보통 처음 이가 나는 시기는 평균 6개월이지만 첫돌이 지난 후 나는 아기들도 있어요. 빠른 아기는 9개월에 이미 8개가 난 아기도 있었어요. (약 13개월 이후에도 이가 나지 않는다면 전문의와 상담해 보세요.)

출처 : 네이버

  유치는 모두 20개로, 생후 33개월경 되면 모두 나오나고 해요.


 이가 난다는 것은 축하할 일이지만 그만큼 성장통을 겪어야 하는 시기입니다. 이가 나기 시작할 때 통증을 느끼게 되면서 힘들어하는 시기를 '이앓이' 시기라고 합니다. 

 

 이앓이는 이가 나는 직전이나 이가 올라왔을 때 할 수도 있지만 이가 올라오기 시작할 때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

 

대표적인 이앓이 증상은 《수면퇴행, 밤중수유부활, 쪽쪽이물기, 자다 깨서 앙칼지게 울음, 침이 늘어나고 마른 기침을 함, 귀·머리를 쥐어뜯음, 미열》 등이 있어요.

 

 저희 첫째는 무난하게 지나갔지만 둘째는 이앓이 시기를 겪었답니다. 한밤 중에 자다깨서 울거나 귀, 머리를 뜯거나 미열도 좀 났었어요. 하지만 다행히 3일 정도만 이 시기를 겪었고, 그 이후는 증상이 많이 사라졌어요. 

 

⊙ 이앓이 시기 : 유치가 올라오는 생후 6개월부터 마지막 어금니가 나오는 33개월까지, 이가 나올 때마다 나타나기도 하며, 이앓이 없이 지나가기도 합니다. 이가 나면서 아프다면 짧으면 3일에서 길면 일주일정도 보챌 수 있어요.

 

이앓이 대처방법

1. 많이 안아주기

2. 차가운 가제손수건, 차가운 치발이 이용하기 : 이앓이를 하는 시기에는 아기가 젖병 꼭지를 뜯거나 모유 수유를 하다가 엄마를 물기도 해요. 수유 전에 잇몸마사지를 해준다면 물어뜯는 것이 줄어들고, 수유거부도 줄일 수 있어요.

3. 이앓이 연고 : 덴티녹스젤

4. 해열제 : 이앓이로 인해서 고열이 나지는 않지만 미열이 어느 정도 날 수 있어요. 미열이 난다면 소량의 해열제를 먹이다면 도움이 돼요.(해열제는 진통제로도 효과가 있어요)

5. 오사닛캔디 : 쿨링효과로 부어있는 잇몸에 통증을 낮춰줍니다.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미미하지만 자다 깨서 오열할 때 주면 어느 정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어요.

 

 

이가 난 후 관리법 : 유치는 올라오기 시작할 때부터 신경을 꼭 써줘야 해요. '어차피 빠질 치아 신경을 써줘야 될까' 생각하실지도 모르지만 유치는 영구치가 나올 자리를 잡아주고,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치의 건강 상태가 영구치로 이어질 수 있어요.

1. 아침저녁 하루에 두 번 닦아주기 : 구강티슈로 닦아주거나 칫솔 사용해 주기

  ○ 돌 전후 : 위아래 앞니만 나왔을 경우 실리콘 골무 형태의 칫솔롤 양치질 해주기

   18개월 이후 : 어금니가 나오는 시기로 이때부터는 어린이 칫솔로 어금니 틈을 꼼꼼하게 닦아주기

    만 4세 이후 : 만 4세 이후에는 어금니들이 서로 붙기 시작하므로 칫솔질과 치실을 같이 사용하기 

2. 저불소 또는 무불소 치약 사용하기 : 처음에는 쌀톨만큼의 양만큼 에서 만 세 살이 되면 콩알만큼의 양으로 늘려주세요.

  

 만 6세가 되기 전까지는 소근육이 발달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혼자 양치질을 하기에는 미숙하므로 부모가 옆에서 도와주시는 게 좋아요. 

반응형

댓글